회사명 | 주식회사 현대백화점 |
---|---|
대표이사 | 정지선, 장호진, 김형종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98길 12 |
대표전화 | 02-549-2233 |
설립일 | 1971년 6월 15일 |
상장일 | 1989년 8월 22일 |
회사소개
현대백화점은 1971년 설립 이후,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고객에게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고품격 유통 플랫폼, 백화점과 아울렛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전국 주요 도시의 현대백화점 점포들은 다양한 상품 구색, 차별화된 고객서비스, 현대화된 복합문화시설을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보다 편안한 이웃으로 다가서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장기적인 불황으로 가치소비가 늘어나면서 유통업계는 점차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저성장세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현대백화점은 그동안 쌓아온 역량을 바탕으로 기존 대형 점포를 증축, 리뉴얼하고 아울렛과 복합쇼핑몰 오픈을 추진하는 등 외형의 확장 및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5년 8월에는 판교에 복합쇼핑몰을 성공적으로 오픈하였으며, 2016년에는 송도·동대문에, 2017년에는 가든파이브에, 2020년 6월에는 대전에 아울렛을 순차적으로 오픈하면서 고품격 유통 플랫폼의 명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남양주·여의도 등에 점포를 오픈함으로써, 비전2020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또한, 쇼핑 채널이 다원화됨에 따라 온라인 쇼핑사업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동시에 오프라인 채널의 차별성을 강화할 수 있는 MD 및 서비스 추진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현대백화점은 미래를 준비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기 위해 R&D; 강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조직문화 개선을 통해 일하기 좋은 회사, 직원이 행복한 회사를 만들어 나아가고 있습니다.
현대백화점/아울렛 점포현황
현대백화점/아울렛은 현재 전국 22개 점포를 운영 중이며 향후에도 기존 점포의 증축과 함께 전국 각 지역에 신규점포를 출점해 나갈 계획입니다.

수도권 점포
압구정본점 | 02-547-2233 | 무역센터점 | 02-552-2233 |
---|---|---|---|
천호점 | 02-488-2233 | 신촌점 | 02-3145-2233 |
미아점 | 02-2117-2233 | 목동점 | 02-2163-2233 |
중동점 | 032-623-2233 | 킨텍스점 | 031-822-2233 |
디큐브시티 | 02-2262-2233 | 판교점 | 031-5170-2233 |
현대프리미엄아울렛 김포점 |
031-812-2233 |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송도점 |
032-727-2233 |
현대시티아울렛 가산점 |
02-2136-2233 | 현대시티아울렛 동대문점 |
02-2283-2233 |
현대시티몰 가든파이브점 |
02-2673-2233 |
광역권
대구점 | 053-245-2233 | 부산점 | 051-667-2233 |
---|---|---|---|
울산점 | 052-228-2233 | 울산동구점 | 052-234-2233 |
충청점 | 043-909-2233 |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대전점 |
042-332-2233 |
현대시티아울렛 대구점 |
053-430-2233 |
환경 경영 방향성 및 전략
- 미션/비전
- 고객을 행복하게, 세상을 풍요롭게/고객에게 가장 신뢰받는 기업
- 목표
- 생활 속 친환경 선도 기업
- 추진 방향성
- 고객 생활에 밀접한 부분에 집중
- 지속 가능한 실질적 차원의 실천 방안 모색
- 일관성과 지속성을 유지하여 추진
- 3대 추진 전략
-
-
1. 친환경 프로세스 구현: 건강과 환경에 해로운 소재 및 서비스 정책 변경
- 친환경 패키지
- 친환경 소재 적용
- 기능/디자인 업그레이드
- 식품/배송 패키지 중심
- Paperless 프로세스
- 전자영수증/온라인 청구서
- 디지털 신청서
-
2. 친환경 시설 · 설비 구축: 고객 불안 해소와 안전을 위한 매장 환경 조성
- 미세먼지 안심 매장
- 공조 시스템 업그레이드
- 미세먼지 유입 차단
- 고객 접점 공기청정 설비 보강
- 저탄소 전력 운용
- 스마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
- 조명 밝기 제어 시스템
-
3. 친환경 생활 문화 확산: 고객 동참 지속적 권유 Comm. 전략 수립 · 운용
- 고객 참여 콘텐츠
- 365 리사이클 캠페인
- 친환경 가족농장
- 문화센터 환경 학교
- 친환경 공익 사업
- 초등학교 교실숲 보급 확대
- 폐자원 재생 활동 (업사이클)
-
1. 친환경 프로세스 구현: 건강과 환경에 해로운 소재 및 서비스 정책 변경
환경 경영 추진 조직 구성
-
CEO
-
CRO
* CRO (Chief Risk Officer, 위험 관리 책임자): 환경·안전 분야 위기관리를 전담하고 대응책을 모색하는 최고위 경영층-
- 총무팀 · 안전관리팀
- 친환경 설비/시설 구축
- 에너지 절감·수요 관리
- 정부 정책 대응
-
- 문화콘텐츠팀
- 친환경 콘텐츠 기획·운영
- 친환경 Comm. 담당
- 친환경 공익 사업
-
- 상품본부 신선식품팀
- 친환경 포장·소재 개발
- 페이퍼리스 정책 운영
- 친환경 제품 판매
-
-
C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