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친환경 활동

현대백화점의 그린 경영 활동

기간 2022.06.08 ~ 2025.06.09

환경 경영 추진

현대백화점그룹의 ‘VISION 2030’경영 이념 아래 고객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와 차별화된 상품을 제공하기 위해 글로벌 환경기준에 부합하는 지속가능경영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현대백화점은 이를 달성하기 위한 환경 경영 방침과 목표를 정하고, 전사적인 조직을 갖춰, 환경경영을 체계적으로 실천하고 있습니다.

  • VISION 2030
    • 환경 경영 방침
    • 환경 경영 목표
    • ESG 추진협의체

환경 경영 방침

현대백화점은 ‘고객을 행복하게, 세상을 풍요롭게’라는 미션과 ‘고객에게 가장 신뢰받는 기업’ 이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환경 법규를 준수하고 지역사회의 환경 보존을 최우선하는 환경 방침을 세웠습니다.

  1. 환경에 관한 체계적 관리를 현대백화점 운영의 핵심 요소로 인식하고 리스크 관리를 통해 환경성과를 증진한다.
  2. 환경 목표를 정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지속적인 환경성과 개선을 증진한다.
  3. 국내외 환경 법규와 협약을 준수하며 환경경영 추진 및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그 성과를 대내외에 공개한다.
  4. 중대한 환경 측면의 효과적 관리로 지역사회의 환경 보존에 이바지하며 효율적 에너지 이용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
  5. 전 직원에 대한 주기적 환경 교육을 실시하며 자발적인 환경성과 증진에 기여하도록 환경경영활동을 지원한다.

환경 경영 목표

현대백화점은 전국 16개 백화점, 8개 아울렛 사업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점포별 지역사회와 환경 그리고 기업의 성장이라는 선순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환경 목표를 정립하고 추진 전략을 수립했습니다. 특히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고객과 함께하는 친환경 캠페인을 운영하는 등 친환경 실천 문화를 확산한 공로를 인정받아 환경부가 주관하는 친환경 유공포상에서 백화점 업계 최초로 대통령표창을 수상했습니다.

그린서비스 : 건강과 환경에 해로운 소재 및 서비스 정책 개선
  • ㆍ플라스틱 소재의 친환경 전환
  • ㆍ리사이클 방식 적용 쇼핑백
  • ㆍ친환경MD 및 행사 브랜딩
그린시스템 : 환경에 이로운 설비ㆍ시설 구축 및 시스템 운용
  • ㆍ에너지 절감 설비 확대(LED 조명)
  • ㆍ자원 효율화 설비 도입(용수, 종이)
  • ㆍ폐기물 처리 프로세스 개선
그린프렌즈 : 환경보호 실천을 위한 생활 속 문화 확산
  • ㆍ자원 순환 캠페인(업사이클링)
  • ㆍ비대면 환경 정화(플로깅)
  • ㆍ커뮤니케이션 강화(뉴 미디어 활용)

ESG 추진협의체

현대백화점은 환경 경영 목표를 조직적ㆍ체계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ESG 추진협의체를 구축하여 사업활동 전 과정에 걸쳐 환경 방침을 반영하고, 관련 현안과 이슈 사항을 지속적으로 파악해 환경경영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 CEO (최고 경영자)
    • CSO (위원장)
      • 서비스경영 (총괄) [환경관리자]
        • 상품본부
          • 가공식품
          • 신선식품
          • F&B
          • 컨텐츠개발
          • 제휴운영팀
        • 영업전략실
          • 브랜드전략
          • 디자인LAB
          • 커뮤니케이션
          • H.Point
        • 경영지원본부
          • 총무
          • 전략구매
          • 안전보건담당

2021년 환경 경영

생활 속 친환경 실천

자원 순환을 위한 그린 데스크 상시 운영

12만 명 이상 고객 동참 권유 10만 점 이상 재사용 가능 물품 수거 현대백화점은 자원 재사용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일상 속 친환경을 쉽게 실천하기 위해 2015년부터 고객참여형 자원순환 기부 활동 리사이클 캠페인을 진행해 왔습니다. 2021년 현재까지, 누적 고객 12만명이 참여하여 60만 점의 의류 및 잡화 등을 수거했으며 이는 승용차 1,500대가 1만 km이상 주행 했을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저감한 효과로 평가됩니다.

지류 절감을 위한 전자영수증 시스템 개발

연간 전자영수증 발급건수 23백만 건, 종이 약 500km 절감

현대백화점은 2020년 3월, 전자영수증 발급 서비스를 도입하여 현대백화점ㆍH.Pointㆍ현대백화점 모바일카드 APP서 동시 운영 중입니다. 현재까지, 약 40,713co2/kg을 저감하는 등 영수증 용지 (감열지) 사용 절감으로 친환경 쇼핑 문화 조성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업계 첫 플라스틱 재생용기 도입

업계 최초 폐페트병 재활용해 농산물 용기로 사용 현대백화점은 포장재 원료로 많이 쓰이는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폐페트병을 활용하여 농산물 용기를 도입했습니다. 판매중인 농산물 중 40%를 차지하는 14개 품목에 먼저 적용했으며, 2022년까지 100%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현대백화점은 포장재 소재를 바꾸고,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는 등 친환경 문화를 확산시키는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업사이클링 친환경 토트백

소나무 352그루가 1년간 정화하는 공기의 양 현대백화점에서 사용하고 버려지는 연간 폐현수막은 약 3톤으로 소각 과정에서 많은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킵니다. 하지만 현대백화점은 업사이클링 굿즈 프로젝트를 통해 약 2.3톤 정도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막았고, 이는 30년생 소나무 352그루가 1년간 정화하는 공기의 양‘과 같습니다. 지구와 환경 그리고 지속가능한 소비문화 확산을 위한 현대백화점의 도전을 응원해주세요.

친환경 제품 확산 기여

친환경 소비문화 조성 ‘앞장’ 현대백화점은 친환경 인증을 받은 녹색 제품에 대한 고객 접근성을 강화하고 손쉽게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환경부 지정 ‘녹색 매장 지정’ 인증을 받았습니다. (무역센터점) 앞으로도 고객의 녹색소비 활성화에 앞장서고 녹색제품 홍보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녹색 매장 지정’ 매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플라스틱으로 위협받고 있는 멸종위기종 지원

‘수달과 함께 그린 행복’ 현대백화점은 천연기념물 제 330호이자 환경부 지정 1급 멸종위기종인 ‘수달’의 서식지 보전을 위해 ‘수달과 함께 그린 행복’이라는 친환경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현대백화점이 수달의 서식지 보전에 나서게 된 것은 약 20년 만에 수달이 한강으로 돌아왔지만, 플라스틱 등 각종 쓰레기와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사회적 관심과 지원을 알리기 위해서입니다. 현대백화점은 투명 폐 페트병을 가져오는 고객 한 명당 2천원을 적립해, 수달 서식지 보전 및 홍보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수달이 한강에 돌아왔다는 것은 한강 생태계가 수달이 필요한 먹이를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앞으로도 수달이 안전하게 한강에서 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활동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2021년 환경 경영

에너지 절감 및 자원 효율화

성과 지표 온실가스 배출 용수 사용량 폐기물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친환경 포장재 구매량
21년 목표치 1%↓ 5%↓ 5%↓ 5%↓ 20%↑
21년 실적치 14%↑ 15%↑ 13%↑ 15%↑ 31%↑
22년 목표치 3% 절감 2% 절감 3% 절감 2% 절감 20% 증대
  • ※ 21년도 더현대서울(오픈일 : ‘21.02.26) 및 본사 신사옥 (입주일 : ‘20.04.20) 사용분을 반영한 수치
  • ※ 21년도 더현대서울 및 본사 신사옥 사용량(각 10개월/4개월) 제외시 전년 대비 온실가스(2.67%↑), 용수(3.15%↑), 폐기물(1.43%↓), 에너지(3.48%↑)의 수치 기록.
  • ※ 20년도 코로나19로 인한 영업활동 제한으로 각 성과 지표 실적이 낮게 형성되어 기저효과 발생
신재생 에너지 개발 및 투자

본사 사옥의 친환경 건물 운영 현대백화점은 지속적인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개발 및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에 준공된 현대백화점 대치동 신사옥은 친환경 건축 설계 및 환경 친화 요소가 많이 반영된 오피스로 신재생 에너지(태양광 발전, 지열 히트펌프) 등을 최대한 활용하여 건물 운영 중에 있습니다. 현재까지 누적된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기 및 가스의 효율적인 사용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단위 : kWh)
2019 2020 2021
태양광 발전량* (=사용량) 414,724 440,548 590,742
* 사업소 8개 적용(본사 신사옥 포함)
용수 사용량 절감

절수 장비 및 중수 시설 설치 현대백화점은 당사의 ESG경영 이념 및 에너지 관리 계획에 따라 사업소의 용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했습니다. 본사 신사옥 및 탕비실 등에 절수 페달을 설치하여 무분별하게 낭비 용수를 절감했으며, 효과 분석 후 전 사업소에 걸쳐 확대 도입할 예정입니다. 연도별 절감 목표를 단계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 중에 있습니다.

폐기물 배출량 절감

전국 17개 사업소 직원식당 음식물 처리기 도입 현대백화점은 사업소별 폐기물 배출량에 대한 연간 목표를 수립하고 절감하기 위한 다양한 설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본사를 포함한 17개 사업소 직원식당에 음식물 처리기를 도입하여 자체적으로 탄소 배출량 절감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사업소(6개소) 식품관 공동작업장을 대상으로 음식물 전용 처리장비 도입을 완료했으며, 순차적으로 확대 도입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에너지 사용 절감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절감 설비 도입 현대백화점은 기후 변화의 가속화를 막기 위해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다양한 에너지 절감 설비를 도입해 운영 중에 있습니다. 태양광 관련 설비 및 친환경 인증 보일러 설치 그리고 LED 조명 교체 등을 통해 실질적인 에너지 절감 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가 에너지 감축 목표 달성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

단위 tCO2-eq

ㆍ 기준 : 배출량 ÷ ㈜ 현대백화점 순매출
2019 2020 2021 2022(목표)
배출량 149,094 144,529 166,188 161,202
SCOPE1 15,881 14,318 17,452 16,928
SCOPE2 133,190 130,203 148,744 144,282
집약도 10.76 11.61 10.99 -

용수 사용량

단위 : 천 톤(1,000 ton)

2019 2020 2021 2022(목표)
2,274 2,058 2,401 2,352

폐기물 배출량

단위 : 톤 (ton)

2019 2020 2021 2022(목표)
14,198 11,117 12,608 12,230

에너지 사용량

단위: TOE

2019 2020 2021 2022(목표)
사용량 73,733 71,403 82,663 81,010
집약도 5.32 5.73 5.46 -

녹색 인증 제품 매출

단위 : 백만 원

2019 2020 2021
식품 22,654 23,593 24,516
리빙 22,372 27,899 39,353
생활 678 722 734
합계 45,704 52,214 64,603
인증 제품 매출 비중** 3.30 4.19 4.27
  • ㆍ식품 : 동물복지, 유기농, 저탄소 등 정부 인증 상품
  • ㆍ리빙 : 친환경 인증 상품(매트리스)
  • ㆍ생활 : 환경마크, 저탄소, 우수 재활용 인증상품
  • ** 기준 : 친환경 인증 제품 매출 ÷ ㈜현대백화점 순매출

녹색 구매

단위 : 백만 원

2019 2020 2021
녹색제품 1,194 1,067 1,100
친환경 포장재 442 460 596
합계 1,636 1,527 1,696
친환경 소재 구매 비중** 9.53% 11.66% 12%
** 기준 : 친환경 인증 포장재 구매액 ÷ 포장재 구매액
  • ㆍ상기 수치는 ㈜현대백화점 법인 사업소 기준임
  • ㆍ당사는 22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온실가스, 용수, 폐기물, 에너지 사용량을 예측하여 적정 수준의 운영 목표를 설정함 (22년 실적의 경우, 전년대비 1~5% 수준에서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불필요한 사용내역 모니터링 및 절감 활동을 통해 최소화 예정)
  • ㆍ지속적인 친환경 설비 도입 및 노후시설 교체 등을 통해 에너지 이용 효율과 용수 및 폐기물의 재활용을 향상할 예정

현대백화점은 2022년 주요 환경 성과 지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업소별 환경경영 투자와 절감 활동을 착실히 수행해 나갈 것입니다.

환경 경영 투자 실적

[단위 : 백만]

구 분 내 용 적응 효과 ‘20년 ‘21년 ‘22년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설비 친환경 설비 ㆍ본사 신사옥 친환경 설비 도입 탄소 배출량 절감 1,670 1,984 - - -
ㆍ친환경 인증 보일러 설치, 전기차 충전소 등 설치 탄소 배출량 및 에너지절감 1,280 1,530 90 92 183
전기 조명 기구 ㆍLED 조명 교체 및 디밍시스템 적용을 통한 에너지 절감 에너지 절감 8,930 10,657 1,200 1,210 968
스마스 텐서 ㆍ상시 사용하지 않는 장소의 대기전력 절감 에너지 절감 50 75 - - -
기타 음식물 처리기 ㆍ음식물 절감기 도입을 통한 폐기물 절감  탄소 배출량 절감 100 121 110 113 34
포장재 ㆍ생분해성, 재활용 포장재 도입 자연 생분해, 재활용 470 543 700 711 853
공조기 필터 ㆍ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공조기 필터 정기 교체 실내공기질 /공조기 효율 개선 - - 300 285 143
친환경 패드 ㆍ대리석 광택 관리패드 친환경 소재로 변경 탄소 배출량 절감 , 재활용 - 38 50 54 41
- - 12,500 14,948 2,450 2,465 2,222
구분 계획 집행
2020년 12,500 14,948
2021년 2,450 2,465